지능형교통시스템 완전정복: 개념·기술·정책·사례 가이드

지능형교통시스템(ITS) 완전 가이드: 개념, 기술, 적용, 정책

지능형 운송시스템(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은 도로·차량·사용자를 데이터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교통의
안전성·효율성·지속가능성을 동시에 높이는 종합 시스템입니다. 센서와 통신으로 수집된 교통 데이터를
클라우드/엣지에서 분석하고, 이를 신호제어·안내·요금징수 등으로 재투입해 혼잡·사고·배출을 줄입니다.
미 교통부 ITS JPO 소개

1. ITS의 핵심 가치

  • 안전: 위험상황 조기감지·경고, 긴급차량 우선통행
  • 효율: 신호 최적화, 실시간 경로안내(RTI), 수요관리
  • 지속가능: 정체 감소로 연료·배출 절감, 친환경 모빌리티 지원
  • 포용성: 대중교통 정보 접근성 강화, 약자 이동권 데이터 표준화
    EU ITS 지침(2023/2661) 개정

2. 시스템 구성(수집 → 처리 → 제공)

2.1 정보 수집

도로변 센서(루프코일, 레이더/라이다, 카메라), 차량·스마트폰 GPS, 버스·화물차 AVL, 주차/기상 센서, RSU/OBU 로그 등에서
원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2.2 정보 처리

교통운영센터(TMC)의 엣지+클라우드 아키텍처에서 품질관리, 익명화, 실시간 분석(혼잡/사고 탐지), 예측(수요·여행시간),
최적화(신호체계·경로·차량대배치)를 수행합니다.

2.3 정보 제공/제어

가변정보표지(VMS), 신호제어기, 모바일 내비, 차량 인포테인먼트, API/데이터 포털을 통해 운전자·운영자·개발자에게
실시간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3. 기술 스택

3.1 센싱·지각

  • 정적/동적 검지: 루프·레이더·비전·블루투스 트래킹, 환경/기상, 노면상태
  • 협력 지각(Cooperative Perception): 차량·인프라가 상호 데이터로 사각지대를 보완

3.2 통신(V2X)

  • V2V/V2I: 저지연 경고/우선신호, 교차로 잔여시간 제공(SPAT/MAP)
  • C-V2X/5G: 확장 커버리지·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반 서비스

3.3 데이터·AI

  • 스트리밍 분석·시계열 예측으로 수요·여행시간·사고 확률 예측
  • 강화학습 기반 신호 최적화, 수요반응형 대중교통(DRT) 배차

3.4 보안·업데이트

차량·인프라 소프트웨어는 사이버 보안(UN R155)소프트웨어 업데이트(UN R156) 규제를
준수해야 합니다. 이는 운영 조직의 보안관리체계(CSMS)와 안전한 OTA 업데이트(SUMS)를 요구합니다.
UN R155,
UN R156

4. 대표 적용 분야

4.1 교통관리

  • 신호 최적화(보행자·버스·응급차 우선), 차로 제어, 램프미터링
  • 실시간 경로안내(RTI), 혼잡요금/차량제한과 연계

4.2 대중교통

  • 버스 정보 시스템(BIS), BRT 우선신호, 정시성 개선 KPI
  • 약자 접근성 정보 표준화 및 공개
    EU 2023/2661 전문

4.3 화물·물류

  • 트럭 가용차로/시간대 운영, 정시 예측 ETA, 전자요금징수(ETC), 안전휴게소 정보

4.4 안전·긴급

  • 사고 자동통보, 위험구간 경보, 재난 우회, 구조차량 우선통행

5. 스마트시티와의 융합

도시 운영(에너지·치안·환경)과 교통을 하나의 데이터 플랫폼으로 결합해 수요·공급을 동적 최적화합니다. 한국은
국토교통부 ITS 기본계획 2030
2025년 ITS 시행계획
에서 도시 단위 통합과제를 제시했습니다.

6. 자율주행과 ITS의 상호작용

  • 협력 자율주행: 교차로 SPAT/MAP, 도로공사·사고 경고, 공용 HD 맵 보완
  • 차량 데이터 피드백: 차량 센서 데이터로 인프라 모델 정밀도 향상(코퍼레이티브 인텔리전스)

7. 거버넌스·정책·표준

7.1 국제 프레임

7.2 국내 전략

8. 도입 로드맵(예시)

8.1 0~6개월: 현황·데이터 인벤토리

  1. 센서·RSU·신호기 자산 조사, 데이터 표준·품질 점검
  2. 우선과제 정의: 정체 상시 구간, 사고다발 구간, 버스정시성 저하 구간

8.2 6~18개월: 핵심 PoC

  1. 혼잡구간 신호최적화, 버스 우선신호, 교차로 SPAT/MAP 시범
  2. 데이터 레이크/허브 구축, 실시간 대시보드(TTI, 평균지체, P95 여행시간)

8.3 18개월~: 확산·제도화

  1. 도시 전역 신호연동·지능형 우회경로, 화물 ETA·안전휴게소 연계
  2. 보안·업데이트 체계(CSMS/SUMS) 정착 및 성과 기반 예산

9. KPI와 기대효과

  • 운행시간·지체시간·신뢰도(P95/avg) 개선율
  • 사고건수·중상사고율·응급차 도착시간 단축
  • 연료/배출 저감량, 대중교통 정시성·수송분담률
  • 데이터 개방·활용 건수(API 호출, 민간서비스 연계)

10. 참고 자료(공식 1차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