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특장차 검수 체크리스트: 외관·유압·전기·하체·서류 완벽 가이드

중고 특장차 검수 A to Z: 외관·성능·특장·전기·하체·서류·시운전·구매 후 계획

중고 특장차(덤프, 크레인, 살수차 등)는 일반 화물차와 달리 특수 장치가 핵심 자산입니다. 따라서 기본 차량 상태 + 특장 장치의 작동·안전·법규 적합성을 동시에 확인해야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아래 체크리스트는 국제·국내 공신력 자료의 기본 원칙을 토대로, 실제 거래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순서로 재구성했습니다
(예: 브레이크·조향·등화 설치 등은 UN ECE 규정 참조, 작업장·검수 환경의 조도·안전은 OSHA 1926.56ISO/CIE 8995-1 권고 조명 원칙 참고).

1. 외관 검수: 첫 10분에 판가름 난다

1-1. 차체·도장·부식

  • 패널 유격·단차, 재도장(컬러 톤 차이/오렌지필), 용접 비드 흔적 확인
  • 프레임·캐빈 하부·적재함 모서리의 녹과 스케일 부식 상태 점검

1-2. 유리·램프·미러

  • 전면유리 스톤칩/크랙, 사이드/후면 유리 흠집
  • 헤드램프·턴시그널·테일램프 파손 및 혼탁(황변) 여부 — 등화 설치는 UN ECE R48 원칙 준거

1-3. 적재함·특장 외관

  • 내·외판 찌그러짐, 용접 보강 흔적, 바닥판의 패임/균열
  • 힌지·도어·록장치 루즈/간극, 방수 씰 상태

2. 기본 차량 성능 점검

2-1. 엔진룸

  • 시동·공회전 진동, 냉간→온간 소음 변화, 배기색(청/백/흑) 관찰
  • 오일/냉각수/브레이크액/파워스티어링액 누유/오염 유무

2-2. 변속·클러치·조향·제동

  • 수동: 클러치 반응점/슬립, 자동: 변속 충격·슬립
  • 조향 유격·복원력 — 조향 관련 안전성은 UN ECE R79 기본 개념 참고
  • 브레이크 페달 스트로크·쏠림·잡음 — 제동 성능은 UN ECE R13 평가 원칙 참고

3. 특장 장치 작동 점검

3-1. 유압 시스템 핵심

  • 펌프·실린더·호스·피팅 누유/스웰링/크랙 확인
  • 작동 압력·반응속도, 하중 유지(크리프) 테스트

3-1-1. 유압 안전 일반원칙

산업용 유압은 국제적으로 ISO 4413 등에서 누유 방지, 과압 보호, 호스 라우팅, 락아웃을 권고합니다. 특장차는 차량 진동·외기에 노출되므로 더 보수적으로 점검합니다.

3-2. 장르별 체크

  • 크레인: 붐 신장/각도, 회전베어링 루즈, 아웃트리거 동작·수평 유지
  • 덤프: 실린더 인출·복귀 속도, 상·하한 스토퍼, 적재함 비틀림
  • 살수: 펌프 토출 압력, 노즐 분사 패턴, 밸브 개폐·누수

4. 전기 시스템 점검

4-1. 기본 전원·충전

  • 배터리 전압(시동 전/후), 발전기 충전전압(≈14V대), 접지 저항
  • 계기판 경고등 고장 숨김 방지(불법 전구 제거 여부) — 점등→소등 시퀀스 확인

4-2. 특장 전장

  • 컨트롤러·릴레이·퓨즈 정격, 배선 피복 손상/임시 스카치락 여부
  • 차량 전자파 적합성은 UN ECE R10 원칙에 부합하는 장비를 권장

5. 하체·구동계 점검

5-1. 프레임·용접·크로스멤버

  • 비틀림·뒤틀림, 균열, 용접 보강 흔적과 보강 품질

5-2. 서스펜션·쇼크

  • 리프 스프링 크랙·U볼트 풀림, 쇼크 누유/부싱 마모

5-3. 구동축·디퍼렌셜

  • 핀리온·허브 누유, 로드 시 이음, 조인트 유격

5-4. 타이어·휠

  • 트레드 편마모→캐스터/캠버/토 점검 트리거
  • 적재중량 등급(Load Index)·제원 일치 확인

6. 차량·특장 이력 확인

6-1. 사고·침수

  • 보험·정비 이력, 실내 단자/하네스 녹·흙 침투 흔적

6-2. 검사·점검 기록

  • 정기검사·특장 안전검사 기록. 국내 제도는 국토교통부/관계기관 고시·규정에 따름
    (국토교통부)

7. 서류 정합성 검증

7-1. 등록증·식별 정보

  • 차대번호(VIN)·엔진번호·특장 구조변경 기재 일치

7-2. 인증·검사 증명

  • 특장 장치 인증·검사증, 보험·세금 납부 현황

8. 시운전: 무부하→부분하중→가상만재 순

8-1. 주행 계통

  • 직진 안정성, 변속 충격, 제동 직진성·배력, 파워스티어링 펌프음

8-2. 특장 실검

  • 붐/덤프 작동 속도·정지 후 처짐, 반복작동 시 오일온 상승에 따른 성능 저하

8-3. 이상 징후

  • 특정 rpm 공명 진동, 기어단별 이음, 타는 냄새/유증기

9. 전문가 동행 점검

특장 장비는 모듈마다 결함 패턴이 상이합니다. 해당 장르(크레인/덤프/살수)에 정통한 정비사·검수 전문가 동행 시, 잠재 결함→수리비를 즉시 숫자로 전환해 협상력이 커집니다.

10. 구매 후 계획: CAPEX가 아닌 OPEX 관점

10-1. 즉시 수리·교체 목록

  • 안전 직결(제동/조향/전기 배선/유압 호스) 우선

10-2. 유지보수 비용·부품 가용성

  • 주요 소모부품(패드, 라이닝, 호스, 씰) 리드타임 파악

10-3. 정기 점검 캘린더

  • 유압 오일·필터 교환 주기, 붐 윤활 포인트 주기 표준화

📚 참고 리스트 (핵심 근거 요약)

  • UN ECE Vehicle Regulations: 등화 설치(R48), 제동(R13), 조향(R79), EMC(R10) 등 차량 안전·성능의 국제 기준 프레임
    (링크).
  • OSHA 1926.56: 작업장 최소 조도 기준 → 검수·정비·시운전 준비 환경의 안전 하한선을 제공
    (링크).
  • ISO/CIE 8995-1: 작업장 조명 설계(조도·균일도·눈부심) 권고 → 라벨 판독·결함 식별 정확도 향상
    (링크).
  • ISO 4413: 유압 시스템 일반규칙 → 과압보호·청결·배선·락아웃 등 특장 유압 안전의 글로벌 베이스라인
    (링크).
  • 국토교통부: 국내 자동차 관리·검사 제도 총괄(특장 구조변경·검사 포함)
    (링크).

중고 특장차 구매 체크리스트: 외관·유압·프레임·검사 한 번에

중고 특장차 구매·검수 완전 가이드: 서류·외관·특장기능·전장·하부·시험주행

중고 특장차(덤프, 크레인, 살수, 탑차 등)는 기본 섀시 상태와 특장(보디·장치) 품질이 동시에 중요합니다. 본 가이드는 사전 서류 준비→현장 점검 체크리스트→시험 주행→전문가 검수 순으로, 실수 없는 구매를 돕기 위해 정부·공공기관·국제 규격을 근거로 구성했습니다. 서류 진위·이력 확인은 국토교통부 자동차365와 한국교통안전공단(TS) 검사 기준에서 출발하고(정기검사·부적합 항목), 안전·유압·브레이크 등 핵심 리스크는 UN ECE R13(대형차 제동), R13-H, ISO 4413(유압 안전) 등을 참고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1. 사전 준비: 서류·이력·법정검사

1-1. 필수 서류와 온라인 확인

  • 차량등록증·정비기록·보험가입증명서: 소유·용도 이력, 구조변경 기록, 검사 유효기간 확인
  • 이력 조회: 국토부 자동차365 통합 서비스에서 실매물 여부, 시세, 등록비용, 침수 정보 등을 체크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 사고·수리 이력: 보험개발원 카히스토리에서 1996년 이후 보험수리 지급기록 기반 사고 이력을 확인합니다(완전 무사고 보증은 아님).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1-2. 검사·법규 프레임

국내 정기검사·부적합 항목·배출가스 측정방법은 TS 한국교통안전공단 고시·안내에 따라 운영됩니다. 검사 항목의 큰 틀과 절차를 숙지하면 하자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유리합니다. TS 정기검사 안내, 자동차 검사 시행요령 행정규칙(2025).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2. 외관 검수: 부식·용접·실링·누수

2-1. 차체·특장 일체감

  • 부식 지도(mapping): 캡 하단, 도어 하단, 휠하우스·프레임 레일, 특장 베드 접합부를 손전등·내시경으로 확인
  • 도장·색차: 특장 보디와 섀시 도장톤 불일치(부분 재도장·수리 징후) 점검
  • 용접부: 크랙·핀홀·언더컷, 보강판 끝단 스트레스 집중 부위 확인(특장 지지대, 힌지, 붐 베이스 주변)
  • 실링·패킹: 탑차/리어도어·슬라이딩 윈도우의 실링 경화·균열, 루프·유리 몰딩 누수 흔적

2-2. 문·창·도어 작동

여닫이 저항, 힌지 유격, 롤러·가이드 마모를 체크하고 우천 시 누수 경로(패널 접합·배수홀)를 확인합니다. 이는 정기검사 시 직접 항목은 아니더라도 부적합 원인(부식·안전 관련)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 TS 검사 프레임.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3. 특장 기능 검사: 유압·안전장치·소음

3-1. 유압 시스템 핵심 체크

  • 누유: 펌프·밸브블록·실린더 로드·호스 크림프부·퀵커넥터 주변 오일 미스트·드립
  • 압력·응답: 공회전/작업 rpm에서 기능 상승·하강·스윙 응답 시간 측정(냉간/열간 비교)
  • 안전: 릴리프 밸브 설정·안전밸브 작동, 호스 마찰·비산물 보호, 비상정지(인터록) 확인

유압 안전 일반 원칙(배관 보호, 압력 해제, 에너지 고립)은 ISO 4413에 체계화돼 있습니다(유압시스템 안전·유지보수의 기본). 구형 문헌이라도 핵심 원리는 동일하며(1998/2010), 최신 개정 동향과 병행 참고가 유효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5]{index=5}

3-2. 장치별 포인트

크레인(로더·탑크레인)

  • 붐 텔레스코핑/스윙 백래시, 턴테이블 베어링 루스닝, 아웃리거 잠금·경보 회로
  • 과부하 제한장치(LSI) 경보·컷오프, 와이어로프 마모·소켓 단차

덤프

  • 실린더 로드 피팅 누유, 베드 힌지 변형, 덤핑 각도·하강 속도 균일성
  • 베드 라이너 상태, 토출문(테일게이트) 체결·개폐 센서

살수·펌프류

  • 펌프 캐비테이션 소음, 배관 클램프 간격, 노즐 막힘·편사(噴射 불균일)

4. 동력계·제동·조향: 엔진·변속기·차축

4-1. 엔진·변속기

  • 시동·아이들 안정성, 냉간/열간 블로바이, 흰/청/흑 연기 분류
  • 수동 변속: 각 단 기어 인게이지 감각, 슬립·동기화 소음 / 자동 변속: 변속 충격·슬립
  • 오일·냉각수·연료 누출 흔적, 컨탐(유화, 금속분, 냄새) 점검

4-2. 제동·조향·안전 전자제어

상용차의 브레이크 성능·전자제어 안전요건은 UN ECE 규정에서 프레임을 제공합니다. 완성차 인증 영역이지만 중고 구매자는 제동 일관성·경고등·ABS/ESC 경고를 중점 확인해야 합니다. 브레이크 시스템 구조·안전 요구는 UN ECE R13, R13-H 문서를 참고하세요. 최근 개정 제안 동향도 공개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6]{index=6}

5. 전기 시스템: 발전·배터리·배선·특장 전장

5-1. 기본 전장

  • 충전전압(대략 13.5~14.5V 범위)이 정상인지, 로드 걸었을 때 전압 강하·과열 유무
  • 메인 하네스 마찰·쓸림, 접지 저항, 퓨즈/릴레이 정격 확인
  • 계기판 경고등 자가진단(점등/소등 시퀀스) 정상

5-2. 특장 전장

크레인 리밋 스위치·각도센서, 인터록, 경광·버저 등 안전회로의 동작을 실제 작업 시나리오로 검증합니다. EMC(전자파 적합성)는 차량·부품 설계 기준이지만, 개조·정비 이력으로 간섭 소지가 없는지 확인합니다(브레이크/ABS 회로에 간섭 불가). 근거: UN ECE R13 전자제어 안전요건. :contentReference[oaicite:7]{index=7}

6. 브레이크 시스템: 페달 감·누유·라인 부식

6-1. 검사항목 정리

  • 마스터·부스터·캘리퍼·호스 누유, 배관부 부식, 에어 브레이크의 경우 건조기 상태·누기
  • 페달 스펀지 감, 편제동, 고속/저속 제동 직진성
  • 주차브레이크 경사로 홀드, ABS 경고등 점등 이력

국내 정기검사 체계(부적합 판정 항목, 배출가스·제동 성능 등)를 이해하면 사전 리스크 차단에 효과적입니다. TS 정기검사. :contentReference[oaicite:8]{index=8}

7. 타이어·서스펜션: 하중 이력의 단서

7-1. 타이어·휠

  • DOT 코드·제조주차, 트레드 잔량, 컵핑·편마모(얼라인먼트·하중 불균형 단서)
  • 사이드월 벌크·코드 노출, 림 데미지·밸브 스템 누기

7-2. 서스펜션

  • 리프 스프링 크랙, U볼트 토크 자국, 쇼크 오일 누유
  • 특장 하중 분배 불균형 흔적(스프링 새그 차이, 차고 좌우 편차)

8. 하부·프레임: 구조 안전의 핵심

8-1. 프레임 레일·크로스멤버

  • 충돌·과적 흔적(찌그러짐·좌굴·크랙), 보강판 추가 용접 부위의 열영향부(HAZ) 균열
  • 특장 지지 브래킷·힌지·핀 하우징의 타원화·크랙

8-2. 배기·연료·냉각

  • 배기 누설(매연/소음 증가), DPF 상태(경고등 이력), 연료 라인 누유, 냉각 호스 경화

9. 시험 주행: 공차·적재 비교

9-1. 시나리오

  1. 도심 저속: 변속 충격, 저속 떨림, 스티어링 셀프 얼라인
  2. 고속: 직진 안정, 진동 모드(속도 특정 구간 공진), 제동 편차
  3. 작업 모드: 크레인/덤프 기능 작동, 오토레벨·인터록 확인

가능하면 실적재에 근접한 하중(모래 포대 등)을 싣고 제동·가속·코너링 반응을 확인합니다. 제동 안정의 일반 요구사항은 UN ECE R13 프레임을 참고하세요. :contentReference[oaicite:9]{index=9}

10. 전문가 검수: 놓치기 쉬운 지점

10-1. 왜 전문가가 필요한가

특장 구조·유압·전장·프레임 용접은 비전문가가 육안으로만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TS 검사 기준과 법정검사 절차를 숙지한 특장 전문 정비사·검수업체 의뢰를 권장합니다. 필요시 TS 검사소(예약/문의) 정보로 접근해 사전 점검을 병행하면 좋습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 :contentReference[oaicite:10]{index=10}

부록 A. 체크리스트(다운로드용으로 구조화)

A-1. 서류

  • 등록증·정비기록·보험증명·구조변경 승인서 사본
  • 자동차365 실매물·침수·시세 확인 스크린샷
  • 카히스토리 사고 이력 리포트

A-2. 현장

  • 외관: 녹·부식·용접·실링·누수
  • 특장: 유압 누유·압력·응답·안전밸브·인터록
  • 동력계: 오일/냉각/연료 누출, 변속 충격, 블로바이
  • 제동/조향: 페달 감, 편제동, ABS/ESC 경고
  • 전장: 충전 전압, 하네스, 접지, 퓨즈/릴레이
  • 하부: 프레임 변형·크랙, 배기/연료 라인, 스프링/쇼크
  • 타이어: DOT, 편마모, 림 손상
  • 시험주행: 저속/고속/작업모드 3단계

참고(1차 출처) 리스트

  1. 국토부 자동차365(중고차 실매물·시세·침수·등록비용 등): https://www.car365.go.kr/ :contentReference[oaicite:11]{index=11}
  2. TS 한국교통안전공단 정기검사 안내 및 부적합 항목: https://main.kotsa.or.kr/portal/contents.do?menuCode=01010200 :contentReference[oaicite:12]{index=12}
  3. 자동차 검사 시행요령 등에 관한 규정(행정규칙, 2025): https://www.law.go.kr/LSW/admRulLsInfoP.do?admRulSeq=2100000261302 :contentReference[oaicite:13]{index=13}
  4. 보험개발원 카히스토리(사고·수리 이력): https://www.carhistory.or.kr/ :contentReference[oaicite:14]{index=14}
  5. UN ECE Regulation No.13(대형차 제동) 최신 문서 묶음: PDF :contentReference[oaicite:15]{index=15}
  6. UN ECE Regulation No.13-H(승용·경상용차 제동): EUR-Lex :contentReference[oaicite:16]{index=16}
  7. ISO 4413:2010 Hydraulics Safety(유압 일반 안전 원칙): https://www.iso.org/standard/44781.html :contentReference[oaicite:17]{index=17}
  8. ISO 4413:1998(레거시 열람본, 참고): PDF :contentReference[oaicite:18]{index=18}
  9. 국토부 보도(자동차365 실매물 확인 서비스 안내): 링크 :contentReference[oaicite:19]{index=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