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이버 보안

자동차 사이버 보안 완전 가이드 | UN R155·ISO 21434·실제 해킹 사례 분석

자동차 사이버 보안 이미지

1. 자동차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

현대 차량은 수십~수백 개의 전자제어장치(ECU)와 수천만 라인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초연결 시스템입니다. OTA(Over-The-Air) 업데이트, V2X 통신, 인포테인먼트 연동 확산으로 공격면(attack surface)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보안은 안전(Safety)과 직결되는 필수 조건이 되었으며, UN ECE R155와 같은 국제 규제에서도 이를 명확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1-1. 안전과 직결되는 보안의 이유

  • 제어 무결성: 브레이크·조향·파워트레인 등 핵심 안전 시스템 보호
  • 데이터 보호: 위치·운전습관·결제 등 민감정보 노출 방지
  • 서비스 연속성: 원격 업데이트·제어 기능의 안정적 운영

2. 실제 해킹 사례와 주요 위협

2015년 지프 체로키 원격 해킹 시연은 업계를 뒤흔든 사건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취약점을 통해 에어컨, 라디오, 와이퍼 제어뿐 아니라 주행 관련 기능까지 간섭 가능함을 입증했습니다. 이후 NHTSA 모범사례ENISA 스마트카 보안 권고에서도 유사 위협이 반복적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2-1. 주요 침입 경로

  • 인포테인먼트/텔레매틱스: 인터넷 연결, 서드파티 앱, 미흡한 인증
  • 무선 인터페이스: Bluetooth, Wi-Fi, NFC, 셀룰러, V2X
  • 진단 포트: OBD-II, 정비 장비 인터페이스
  • 키 시스템: 스마트키·원격 시동 릴레이 공격
  • 공급망: 서드파티 펌웨어·라이브러리 무결성 저하

3. 규제 및 표준 프레임워크

자동차 사이버 보안을 위한 대표적인 국제 규제·표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3-1. UN ECE WP.29 R155 / R156

  • R155(CSMS):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구축 요구
  • R156(SUMS):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관리체계 요구
  • 자세한 내용: UN ECE 공식 문서

3-2. ISO/SAE 21434

설계부터 폐기까지 전 수명주기에 걸친 사이버보안 엔지니어링 표준입니다. 위협 분석·위험 평가(TARA), 형상관리, 공급망 보안까지 포함됩니다.
ISO/SAE 21434 표준 페이지

3-3. 국가별 가이드라인

4. 제조사의 보안 대응 전략

4-1. Security by Design

제품 개발 초기부터 위협 모델링과 위험 평가를 요구사항에 포함시키는 접근법입니다.

4-2. 핵심 기술 적용

  • 신뢰 부트 체인(Secure Boot)
  •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 통신 암호화(TLS/DTLS)
  • 차량 내부 침입탐지/방지(IDPS)

4-3. OTA 업데이트

취약점 패치의 신속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보장하며, 롤백 보호 기능을 포함해야 합니다.

4-4. 공급망 보안

SBOM(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 관리와 서드파티 보안 심사가 필수입니다.

5. 향후 과제와 전망

V2X 보급 확대와 자율주행 고도화로 공격면이 더욱 넓어집니다. AI 기반 이상징후 탐지, 양자 안전 암호(Quantum-safe Crypto), 블록체인 무결성 검증이 주요 기술로 부상할 전망입니다.